1.영화줄거리
주인공인 이나미는 친구들과 술을 많이 마시고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게 되고 그 스마트폰을 준영이 줍게 되면서 극이 시작됩니다. 나미에게는 아주 친한 친구인 은주가 있는데 은주가 나미에게 전화를 걸게 되고 핸드폰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나미의 스마트폰을 주운 준영은 나미의 인스타를 시작으로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나미의 모든 정보를 기록합니다. 전화를 건 은주와 통화를 하게 된 준영은 자신의 목소리를 숨기고 목소리 어플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게 됩니다. 나미네 집으로 간 은주 핸드폰으로 준영과 통화를 하게 된 나미는 핸드폰을 아빠 카페에서 전해받기로 약속을 합니다. 한편 산속 인적이 드문 곳에서 손톱에 매니큐어를 바르고 지문도 소지품도 없는 시신이 발견됩니다. 시신의 주변을 살펴보던 형사 지만은 7년전 연락이 끊긴 아들 우준영의 이름표가 걸려있는 자두 나무를 발견하게 되고 자두 나무 주변에 떨어져 있던 영앙제의 빈통을 발견하게 되고 여성의 시신 옆에서도 영양제를 발견하게 됩니다. 지만은 아들 준영이 사람을 죽일 성격이 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고 준영의 주변 사람들을 수사해보기로 합니다. 나미에게 스마트폰을 돌려주기로 했지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풀지 못한 준영은 스마트폰 액정을 박살내고 실수로 액정이 부셔져서 죄송하다며 자신이 잘 아는 수리 가게에 맡겨놓았고 대금도 전부 지불해 놓았다고 이야기 하며 자신의 수리점으로 찾아오게 합니다. 수리점에 찾아온 나미에게 수리 견적서를 건네며 비밀번호를 적게하고 수리하는 동안 비밀번호로 스마트폰 잠금을 해제하고 나미의 스마트폰과 똑같은 복사폰을 만들어 나미를 일거수 일투족을 실시간으로 감시를 시작 합니다. 감시를 하며 나미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적어놓으며 나미 주변인물들을 정리할 생각을 합니다. 준영의 컴퓨터 바탕화면에는 나미 전에 희생된 희생자의 사진을 내리고 나미의 사진으로 변경해놓습니다. 형사 지만은 준영이 아닐거라 생각하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아들 준영의 집을 찾게되고 찾아간 준영의 집에서 그동안 죽인 것으로 보이는 여성들의 정보를 적어둔 메모, 여러개의 핸드폰을 발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준영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버지 지만을 발견하고 지만을 집 밖으로 유인해 낸 후 집으로 돌아가 모든 증거물들을 물에 적셔 무용지물로 만듭니다. 나미의 아빠 승우가 운영하고 있는 카페에 찾아간 준영은 단골인 척 자주에이드를 찾으며 나미의 관심을 끌고 그 모든 것을 지켜본 승우는 준영이 단골이 아닌데 단골인척 나미에게 접근하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 나미에게 가까이 하지 말라며 화를 내게 됩니다. 은주는 엄마와 다투게 되어 나미에게 연락하게 되고 은주의 문자에 준영이 답장을 해 나미 집으로 오게 합니다. 은주와 같이 잔 다음날 알람이 울리지 않아 회사에 늦게되고 뒤늦게 스마트폰을 챙겨 출근을 하는 길에 여러통의 전화와 메세지를 받게 됩니다. 술에 취해 잠든 밤에 나미가 회사 홍보용으로 몰래 사용했던 계정에 회사를 언급하며 비방의 글을 썼고 회사는 계약했던 모든 건들이 취소 되고 망하게 된 상황에 나미가 회사를 망하게 하려고 저격한 것이라 오해하고 나미를 내칩니다. 모든 걸 계획했던 준영은 나미가 자신에게 연락하도록 디지털 보안관의 명함을 건네놓았고 나미는 준영에게 연락하게 됩니다. 준영은 나미가 해킹당한 일을 도와주는 척 하며 은주와 나미 사이를 이간질 하고 나미는 은주를 오해해 크게 다투고 헤어지게됩니다. 이런일이 왜 생겼을까 천천히 생각하던 나미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수리해줬던 수리점에서 스파이웨어를 깐 것이라고 경찰과 함께 찾아가고 그 곳에서 지만을 만나게 됩니다. 지만은 준영이 연쇄살인범이 아니라 단순한 범죄자 취급을 하고 나미는 자신을 통해 준영을 함께 잡자고 제안하게 됩니다. 나미가 준영을 집으로 유인하고 형사들이 잡는 계획을 세우지만 중간에 준영이 알아채고 나미의 집을 가다가 돌아서게 됩니다. 지만은 준영이 수상해서 쫓아가지만 준영을 못알아 보고 보내게됩니다. 준영을 놓치게 되자 나미는 아빠가 살고 있는 집으로 향하기로 하고 스마트폰은 전에 쓰던 기계로 유심을 바꿔 준영이 모르게 하려했지만 이미 준영이 예전 스마트폰에도 스파이웨어를 깔아둔 상태라 경찰과 공모한 것을 알게됩니다. 준영은 아빠집에 가 이미 아빠를 폭행해 감금해두었고 그 집으로 들어가면서 나미는 형사들에게 계속 연락하겠다고 말하며 쪽지를 건넵니다. 그 쪽지에는 문자는 하지 않고 무조건 전화를 하겠단 메모였고 나미는 집으로 들어가 집안 분위기가 이상해 형사에게 전화를 걸려 하지만 준영의 방해로 걸지 못하고 결박당하게 됩니다. 준영은 경찰들에게 문자하라고 이야기 하고 나미는 형사들에게 자고 내일 연락한다고 문자를 보내게 됩니다. 지만은 아들 준영의 위치를 알기위해 실종신고를 했었는데 아들 준영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나미는 아빠를 살려달라고 애원하지만 그럼 아빠 대신 니가 죽으라고 말하며 나미가 물에 잠겨 죽어가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게됩니다. 나미가 말로는 문자하겠다고 했지만 쪽지엔 꼭 전화를 하겠단 메모를 준영이 발견하게 되고 형사들이 들어오는 모습을 보고 준영은 형사를 공격하려 하지만 지만의 공격으로 준영을 붙잡는데 성공합니다. 동료 형사는 나미와 나미아빠를 구출해 심폐소생술을 하고 그 사이 지만은 자신의 아들을 왜 죽였는지 물어보는데 준영은 자신이 우준영을 0번째로 죽이고 살인범으로 만들기 위해 증거들을 흘리고 조작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지만이 화가나 준영을 죽이려 하지만 쏘지 못하고 아빠가 죽은 줄 알았던 나미가 총을 뺏어 준영의 가슴에 총을 쏴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심폐소생술로 아빠가 살아나게 되고 아빠와 나미를 꼭 끌어 안으며 시간이 흐르게 됩니다. 나미와 나미의 아빠, 절친 은주가 함께 일상을 되찾은 모습을 보여주며 영화가 끝이 납니다.
2.영화감상평
영화의 제목처럼 단지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공격을 받고 피해를 입고 죽음을 당하고 하는 영화의 모든 상황들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일처럼 너무 무섭게 다가왔습니다. 순식간에 핸드폰을 복사해내고 내가 살고 있는 일거수 일투족을 함께 카메라로 지켜보고 내가 어떤 것에 관심이 많은지 내가 어떤 사람들과 친분이 있는지 나의 정보를 다 알아낼 수 있다는 것에 소름이 끼쳤습니다. 그렇게 내 정보들이 유출되는 순간에도 난 알지 못하고 계속 스마트폰을 옆에 두고 하루종일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이 가장 섬뜩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는 스마트폰 없이 산다는 것이 참 어려운 일입니다. 아침부터 울리는 모닝콜부터 업무적으로 사적으로 항상 스마트폰을 옆에 두고 생활하는 일상이 익숙하기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해 영화에서 처럼 비슷한 범죄들이 일어나고 있지만 또 다른 새롭고 새로운 범죄들이 더 늘어날 것 같은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우리 사회는 이런 상황들을 직시하고 스마트폰 범죄 예방을 할 수 있도록 여러 해결책을 만들어 주었음 하는 바람이 듭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가 있습니다. "내가 뭘 잘못했는데?" 라고 여자 주인공인 나미가 준영에게 묻고 그 질문에 준영이 "네 폰 내가 주웠으니까 아니, 뭐 대단한 이유가 필요한거야? 그러니까 왜 이렇게 소중한 걸 아무데나 떨어뜨리고 다녀?" 라는 대사가 가장....기억에 남습니다. 내가 잘못한 일이 없어도 스마트폰을 떨어뜨렸다는 사실 하나로 범죄의 타겟이 되고 이런 일을 겪었어야 하는 것이 참..당혹스러운 현실입니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내탓을 하기 보단 이 모든 것이 다 남탓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참 치졸한 자기 변명같습니다. 범죄를 저질러 놓고 자기합리화와 범죄에 대한 타당성을 부여하려고 하는 범죄인의 이기적인 심리가 아닐까? 라고 생각하게 하는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였습니다.
3.일본 현지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추리소설 원작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영화는 일본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아키라의 추리소설이 일본에서 영화화가 되고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에도 영화화가 된 작품입니다. 원작 소설을 읽지는 못했지만 한국에서 보다 먼저 2018년에 개봉했던 영화를 봤는데 한국영화와 다른 점이 많았습니다. 일본 원작에서는 스마트폰을 분실하는 사람이 여주인공이 아니라 여주인공의 남자친구인 점부터, 후반까지 범인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았던 일본원작과는 달리 한국판은 범인의 얼굴을 극의 시작부터 공개하고 이야기를 이끌고 갑니다. 또 한국판에서는 경찰이 범인을 추적하지만 일본판에서는 프로그래머에서 검찰로 전향한 카가야 미나부가 범인을 추적하게 됩니다. 영화가 전개되는 부분도 상당히 많이 다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두 영화의 공통점은 스마트폰을 분실하고 범인이 스마트폰 스파이웨어를 설치해 주인공의 일상을 망가뜨리는 부분만 비슷하고 각각 감독의 스타일대로 각색해 보여준 영화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스타일로는 일본판 보다는 한국판이 더 흥미롭고 재미있었습니다. 일본판에서 범인이 누군지 모른채 끝나는 것이 조금 답답한 부분이였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쉽게 벌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 범죄를 다룬 영화 한번쯤은 꼭 보고 스마트폰에 대한 주의를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댓글